연봉 2300 실수령액 계산 해보자

2019년 연봉 2300 실수령액

 

 

2019년 새해가 되었습니다. 올해 연봉 계약은 잘 하셨나요? 2019년 1월부터 새로운 연봉을 받는 분들도 있으시지만 3월부터 2019 연봉이 적용이 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럼 내가 계약한 연봉으로 내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지 알고 싶어집니다. 인터넷을 보면 2019 연봉계산기 들이 많이 있어서 도움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연봉계산기는 여러 곳에 있지만 일부 연봉계산기들은 2019년 기준이 반영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2019년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포함)만 인상이 되었습니다. 건강보험요율이 3.23%가 되어 있지 않는 연봉계산기는 이용하지 마세요. (장기요양보험요율은 8.51% 입니다.)

 

 

 

제가 사용해 본 연봉계산기들 중에서 제대로 반영이 되어 있는 곳은 사람인 연봉계산기, 인크루트 연봉계산기 등이 있습니다. 가능하면 이 2곳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네이버 연봉계산기는 건강보험료가 2018년 기준이 반영이 되어 있습니다. 네이버 계산기보다는 다른 곳을 이용하세요.

 

 

 

 

아래는 인크루트 연봉계산기 화면 입니다. 다른 연봉계산기와 화면 구성만 조금 다르며 필요한 정보는 다 똑같습니다. 먼저 퇴직금 포함인지 별도인지가 필요합니다. 두번째는 연봉 금액이 필요하며 월 비과세액도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부양가족 수, 20세 이하 자녀수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럼 가장 기본적인 조건인 비과세액 10만원이며 부양가족은 1명 (본인뿐)으로 한 연봉 2300 실수령액 입니다. 사회보험료부터 살펴보면 국민연금 81,750원 / 건강보험료 58,670원 / 장기요양보험료 4,990원 / 고용보험료 11,800원 입니다. 그리고 소득세는 15,320원이며 지방소득세는 1,530원 입니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가 자동으로 부과가 됩니다.) 그래서 최종적인 월 예상 실수령액은 1,742,607원 입니다.

 

 

 

 

 

두번째는 부양가족 정보를 변경을 하였습니다. 20세 이하 자녀 1명을 포함한 부양가족 3명인 외벌이 가장의 경우입니다. (연봉 2300 만원, 비과세액 10만원은 동일) 싱글인 경우와 달리 소득세가 0원으로 나옵니다. 사회보험료는 부양가족과는 무관하여 동일하게 부과가 됩니다. 그래서 월 실수령액은 1,759,457원 이 됩니다.

 

 

 

 

이상으로 연봉 2300 실수령액 계산 결과 였습니다.

 

 

 

연봉이 매월 받는 급여만 있으면 실제와 비슷한 결과를 볼 수 있지만 성과금, 보너스, 각종 수당 등이 있기 때문에 실제와는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원천징수 소득세를 80%나 120%로 변경하신 분들은 소득세 부분이 다릅니다. 본인이 특별히 신청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100%로 되어 있어서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TAGS.

Comments